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카멀라 해리스, 경제 분야에서의 상승세와 그 배경

by 건강경제 2024. 9. 28.
반응형

카멀라 해리스, 경제 분야에서의 상승세와 그 배경

카멀라 해리스 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 겸 부통령이 최근 경제 분야에서 지지율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대선 후보 겸 전 대통령에 비해 약세로 평가받던 해리스 후보가 경제 문제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해리스 후보의 경제 정책과 최근의 경제 지표 개선, 그리고 이러한 변화가 정치적 지지율에 미치는 영향을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경제 분야에서의 지지율 변화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최근 몇 주간 해리스 후보와 트럼프 후보의 경제 분야 정책에 대한 지지율 격차가 극적으로 좁혀졌습니다. 폭스뉴스, ABC-여론조사회사 입소스 등에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트럼프 후보의 지지율이 해리스 후보보다 평균 6%포인트 높아졌습니다. 이는 조 바이든 대통령이 민주당 대선 후보였을 때 두 사람 간의 평균 12%포인트 격차에 비해 절반으로 줄어든 수치입니다.

이러한 변화는 해리스 후보가 경제 문제에 더욱 적극적으로 접근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인합니다. 해리스 후보는 감세와 '프래킹(Fracking)'을 찬성하는 등 우클릭 행보를 보이며 유권자들에게 더 나은 경제적 비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2. 미국 경제의 전반적인 개선

최근 미국 경제 상황은 전반적으로 개선되고 있습니다. 2022년 6월 소비자물가가 9%를 넘었던 것에 비해, 2023년 8월에는 2.5%로 떨어졌습니다. 이는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의 목표인 2.0%에 근접한 수치입니다. 또한,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는 69.0으로, 5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최저점이었던 2022년 6월(50.2)과 비교했을 때 약 37% 상승한 것입니다.

경제학자들은 물가가 유권자에게 가장 중요한 현안이라고 강조합니다. 따라서 해리스 후보가 경제 정책에 긍정적인 이미지를 부여할 수 있는 기회를 얻고 있는 것입니다. 공화당의 여론조사원인 프랭크 런츠는 트럼프 후보가 바이든 행정부 출범 후 나타난 고물가와 해리스 후보를 연결짓는 데 실패했다고 진단했습니다.

3. 해리스 후보의 전략 변화

해리스 후보는 바이든 대통령과는 다른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이 고물가 상황에서도 "경제 펀더멘털은 튼튼하다"고 국민을 설득하려 한 반면, 해리스 후보는 "나도 중산층"이라고 강조하며 유권자들이 겪는 경제적 어려움에 공감하는 전략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는 유권자와의 연결고리를 강화하고, 그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

해리스 후보는 대형 식품기업의 과도한 가격 인상을 제한할 뜻을 수차례 밝히며, 유권자와의 공감대를 형성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은 경제 문제에 대한 유권자들의 불만을 해소하고, 그들의 신뢰를 얻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4. 트럼프 후보의 반격

이에 맞서 트럼프 대선 캠프 측은 "트럼프 후보가 대통령으로 재임할 때 역대 최저의 실업률, 인플레이션, 주택담보대출 금리 등이 나타났다"며 자신의 성과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또한, 바이든 행정부 출범 후 발생한 기록적인 고물가와 높은 기름값 등을 지적하며 해리스 후보의 정책이 실패할 것이라는 주장을 펼치고 있습니다.

트럼프 후보는 경제 문제에서의 자신감을 바탕으로 해리스 후보와의 대결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고자 할 것입니다. 그러나 최근의 경제 지표 개선이 해리스 후보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5. 결론

카멀라 해리스 후보의 경제 분야에서의 상승세는 최근 미국 경제의 전반적인 개선과 그녀의 전략 변화에 기인하고 있습니다. 물가와 소비자 심리가 개선되고, 해리스 후보가 유권자와의 공감대를 형성하려는 노력이 지지율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반면, 트럼프 후보는 과거의 성과를 강조하며 반격하고 있지만, 이러한 전략이 효과를 볼지는 미지수입니다.

이제 남은 것은 오는 대선에서 유권자들이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입니다. 경제 문제는 항상 중요한 이슈로 남아 있으며, 이를 통해 각 후보가 어떻게 자신의 입지를 다질지 주목해야 할 시점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