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투자

재개발 재건축에 따른 서울 인구 감소 속 강남 인구 증가와 수도권 인구 증가의 원인 분석

by 건강경제 2024. 10. 19.
반응형

재개발 재건축에 따른 서울 인구 감소 속 강남 인구 증가와 수도권 인구 증가의 원인 분석

2016년을 기점으로 지방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반대로 수도권의 인구는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4년 9월 기준으로 지방 인구는 3.5%(90만 5678명) 감소한 반면, 수도권 인구는 1.8%(45만 7695명)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숫자에 그치지 않고, 재건축 재개발과 같은 이슈와 함께 심층적인 원인을 파헤쳐 볼 필요가 있습니다.

1. 취업적령기 인구의 이동

지방에서 특히 눈에 띄는 현상은 5개 광역시(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의 인구 감소입니다. 이 지역의 인구 감소율은 5.4%로, 지방 평균인 3.5%를 크게 초과했습니다. 특히 25~34세 연령층의 인구는 5.7% 감소했으며, 이는 취업적령기의 인구가 양질의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수도권의 일자리는 21% 증가한 반면, 지방의 일자리는 16% 증가하는 데 그쳤습니다.

이러한 통계는 지방에서 수도권으로의 인구 이동이 일자리와 연관이 깊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서울의 직장인 평균 연봉은 4937만 원으로, 지방 직장인 평균 연봉인 3926만 원보다 20% 이상 높습니다. 이처럼 양질의 일자리를 찾아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2. 서울 인구의 이상한 감소

반면, 수도권 내에서도 서울의 인구는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2016년 12월부터 2024년 9월까지 서울의 인구는 5.8% 감소한 반면, 경기도와 인천의 인구는 각각 7.6%와 2.5% 증가했습니다. 이는 서울의 경우 취업적령기의 인구가 경기도나 인천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높은 주거비와 집값 상승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지만, 강남구와 같은 비싼 지역의 인구가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현상은 기존의 가설과 상충합니다.

3. 강남구의 인구 증가 원인

서울의 인구가 줄어드는 동안 강남구는 5.6%나 증가했습니다. 이는 강남구에서 새 아파트 공급이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개포동, 반포동, 고덕동 지역의 재건축 사업이 완료되면서 양질의 주거지로서의 매력이 높아졌습니다. 즉, 비싼 집값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주거 공간을 찾는 수요가 증가한 것입니다.

서울 전역에서 아파트 공급이 부족한 상황에서, 강남구와 같은 지역에서는 새 아파트의 공급이 인구 증가로 이어졌습니다. 이는 주거의 질이 인구 증감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잘 보여줍니다.

4. 서울의 아파트 공급 부족 문제

서울의 아파트 공급이 부족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2023년 기준으로 전국 아파트 중 서울이 차지하는 비율은 14.9%에 불과합니다. 이는 서울 인구와 가구 수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수치입니다. 반면, 경기도와 인천은 각각 32.8%와 29.1%의 새 아파트 비율을 보이며, 이는 전국 평균을 초과합니다.

서울에서 아파트 공급이 줄어든 주된 원인은 규제 정책입니다. 지난 10년간 서울에 새 아파트 공급이 크게 감소했으며, 이로 인해 인구가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다세대주택이나 다가구주택에서 생활하고 있으나, 이는 서울의 주거 환경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습니다.

5. 주거의 질과 인구 이동

결국, 수도권의 인구가 증가하는 가운데 서울의 인구가 줄어드는 이유는 지방에서 양질의 일자리를 찾아온 사람들이 경기도나 인천의 아파트로 이동했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강남구와 같은 지역은 재건축 아파트의 공급 증가로 인해 인구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주거의 질이 인구 증감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입증합니다.

결론

지방 인구 감소와 수도권 인구 증가 현상은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고 있습니다. 양질의 일자리와 주거 공간의 질이 인구 이동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정책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특히 서울의 경우, 아파트 공급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 한 인구 감소 문제는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앞으로의 정책 방향성을 고민하고, 지속 가능한 주거 환경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