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농지연금 지급방식
농지연금은 종신형과 기간형이 있습니다. 종신형은 사망 시까지 연금을 수령하는 것이며, 기간형은 설정기간 동안 연금을 수령하는 것입니다. 농지연금을 신청할 때 종신형이 좋을지 기간형이 좋을지 아래 내용을 참고하셔서 후회 없는 결정을 하면 좋겠습니다.
농지연금 종신정액형
가입자(배우자) 사망 시까지 매월 일정한 금액을 지급하는 유형입니다. 가입자가 먼저 사망할 경우 배우자에게 상속되어 배우자 사망 시까지 종신으로 매월 일정 금액을 지급합니다.
전후후박형
가입초기 10년동안은 정액형보다 더 많이 11년째부터는 더 적게 받는 유형입니다.
수시인출형
총지급가능액의 30% 이내에서 필요금액을 수시로 인출할 수 있는 유형 수시인출금은 농지관리기금 운용에 따라 지급시기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기간정액형(5년/10년/15년/20년)
가입자가 선택한 일정기간 동안 매월 일정한 금액을 지급받는 유형입니다. 종신정액형보다 큰 금액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경영이양형(5년/10년/15년/20년)
지급기간 종료시, 공사에 소유권 이전을 전제로 더 많은 연금을 받는 유형입니다.
은퇴직불형(6년/7년/8년/9년/10년)
농지이양 은퇴직불사업 신청 농업인이 농지를 일정기간 임대한 후 공사에 소유권을 이전하는 전제로, 직불금·임대료·농지연금 월지급금을 함께 지급받는 유형입니다.
지급방식별 가입가능연령
지급방식 | 종신형/경영이양형 | 기간정액형(5년) | 기간정액형(10년) | 기간정액형(15년) | 기간정액형(20년) |
가입연령 | 60세 이상 | 78세 이상 | 73세 이상 | 68세 이상 | 63세 이상 |
은퇴직불형 | |||||
지급방식 | 6년 | 7년 | 8년 | 9년 | 10년 |
가입연령 | 79세 | 78세 | 77세 | 76세 | 65~75세 |
이상으로 농지연금 지급방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종신형의 경우 60세 이상부터 신청이 가능하지만 기간정액형의 경우 기대수명에 따라 기간이 짧을수록 더 고령이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자신의 건강상태와 재정상태에 따라 종신지급형으로 할지 기간정액형으로 할지 결정하셔서 행복한 노후를 즐기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부동산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지연금 홈페이지 (0) | 2024.05.01 |
---|---|
농지연금 수령액 계산 (0) | 2024.04.30 |
농지연금 가입조건 (1) | 2024.04.28 |
농지연금이란? (1) | 2024.04.27 |
부동산 단기 투자를 시작하고 싶다면 꼭 읽어야 할 글 (0) | 2024.04.26 |